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옥천 청산향교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옥천 청산향교
  • 한자명沃川 靑山鄕校
  • 영문명Cheong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in Okcheon
  • 지정일/등록일1981-12-26
  • 관할시군옥천군
  • 이칭/별칭유형 98

문화재 설명정보

옥천 청산향교는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건축이다.
옥천 청산향교는 1398년(태조 7)에 창건되었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2년(선조 35)에 백운동(白雲洞)에 재건하였다가 1654년(효종 5)에 다시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777년(정조 1)과 1848년(헌종 14)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홍살문과 하마비가 세워져 있는 입구를 들어서면 외삼문이 있고 명륜당과 서재, 내삼문과 대성전 그리고 고직사가 남아 있다. 배치는 강학공간이 앞에 배치되고 제향공간이 뒤에 놓이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이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一자형 목조기와집이다. 평면구성은 좌우 양측에 정면 1칸, 측면 1칸 반의 온돌방을 두고 중앙 3칸은 대청을 두었다. 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아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공포는 초익공 형식이다. 가구형식은 대들보 위에 동자주를 양쪽에 세우고 그 위에 종보를 올린 후 판대공을 세워 장여와 종도리를 받치고 있는 5량가이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서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一자형 목조기와집이다. 평면은 남쪽부터 부엌, 아랫방, 웃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전퇴를 두고 있다.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앞면은 두리기둥,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우고 있다. 가구형식은 납도리의 1고주5량가이다.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의 一자형 목조기와집이다. 구조는 두벌대 장대석기단 위에 전퇴 1열은 가공한 원형초석을 두었으나 나머지는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우고 있다. 공포는 앞면은 이익공, 뒷면은 초익공 형식이다. 가구형식은 1고주5량가이고, 지붕은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옥천 청산향교는 격식 있는 대성전이 잘 남아있고 지역적 특성을 잘 간직한 조선시대의 향교건축이다.
The Cheong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located in Gyopyeong-ri, Cheongsan-myeon, Okcheon, Chungcheongbuk-do wa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o honor great Confucian thinkers with seasonal ceremonies and teach Confucian classics to local youths. Originally built in 1398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 of Joseon), the school was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Imjin waeran (1592-1598), the seven-year war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started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1592, and was reestablished in Baegun-dong in 1602 (the 3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of Joseon) before being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654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yojong of Joseon). The school consists of the Myeongnyundang (lecture hall) with a library, the main Daeseongjeon (“shrine hall”), the Naesammun (“inner triple gate”), and the Gojiksa (caretaker’s lodge). It also displays the traditional layout of such institutions, i.e. with the educational facilities arranged at the front and the religious facilities in the rear.
沃川青山郷校は、偉大な儒学者への祭祀を行い、儒学を教育するために忠清北道沃川郡青山面校坪里に建てられた、朝鮮時代の官学教育機関である。沃川青山郷校は、1398年(太祖7)に創建され、文禄・慶長の役で焼失したが、1602年(宣祖35)に白雲洞で再建され、1654年(孝宗5)に現在の場所に移築されている。青山郷校には、明倫堂と西斎、内三門、大成殿、そして庫直舎が残っている。講学空間を前方に配し、祭享空間を後方に配する前学後廟式の配置となっ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98 호
유형 98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주생활 > 건축물 > 향교건축
조선시대
옥천군
1981-12-26
-
건조물>목조건축물류/향교
-
목재
팔작지붕, 맞배지붕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 공간구조(명륜당, 서재, 대성전)
명륜당(5X2), 서재(3X1), 대성전(3X3)
4동
4,075.2
대표 소재지 공개
29013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교평2길 18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 267
대표 보관장소 공개
29013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교평2길 18(교평리)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 267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