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조선 전기에 널리 유통되었던 금강경, 보현행원품, 대불정수능엄신주, 아미타경, 법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관세음보살예문 등 6가지 경전을 한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나무에 새겨서 닥종이에 찍은 것으로, 크기는 세로 29㎝, 가로 17.4㎝이다. 금강경 끝의 기록에 의하면, 이『육경합부』는 세종 22년(1440)에 화악산 영제암에서 새긴 목판을 가지고 찍어낸 것이다. 김수온의 발문(跋文:책의 내용이나 간행 경위에 관하여 간략하게 적은 글)을 통해 성종 3년(1472) 인수대비가 세조·의경왕(懿敬王)·예종 및 인성대왕의 명복을 빌고, 대왕대비와 왕 및 왕비의 장수를 빌기 위하여 각 사찰에 있는 목판에서 찍어낸 29종의 책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복장유물(보물)에 포함된『육경합부』와 동일한 판본이다.
Yukgyeong hapbu (The Six Sutras) is a collection of six Buddhist sutra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Conducts and Vows of the Samantabhadra Bodhisattva, the Shurangama Mantra, the Amitabha Sutra, the Universal Gateway of the Avalokitasvara Bodhisattva, and the Hymns of Avalokitesvara, which enjoyed a wide circulation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 book was printed with woodblocks on mulberry paper, and measures 29 centimeters in length and 17.4 centimeters in width. According to a postscript attached at the end of the Diamond Sutra, it was printed in 1440,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with woodblocks carved at Yeongjeam Hermitage on Hwaaksan Mount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