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Archive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안내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All-
제목
작성자
Total
194
,
Page
16
/ 20
Page unit
10
20
30
50
apply
붉은 돌로 만든 상석에 숨겨진 비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7
단양군 가곡면 보발리 산촌에 위치한 성금마을에는 단양에 유일한 시묘막이 남아 있다.시묘막을 지은 사람은 성금마을에 살았던 故 김기선(1903년생)으로, 그는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홀어머니를 극진히 모시며 살고 있었다. 그러다 모친이 80세로 돌아가시자 매우 슬퍼하며 묘소 곁에 움막을 짓고, 1964년부터 무려 2년 8개월을 이곳에서 시묘살이를 하였다. 현재에도 묘역에는 시묘막과 묘지, 상석, 향로석이 남아 있는데, 그중에서 상석과 향로석이 특이하게도 붉은 돌로 만든 것들이다. 일반적으로 상석을 붉은 돌로 만들지는 않으며, 필자가 알고 있는 한 붉은 돌로 만든 상석과 향로석은 이곳이 유일하다. 그렇다면 어떤 이유로 이곳에 붉은색의 상석과 향로석을 만들게 되었을까?그 힌트는 상석의 명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
등록일
2021-12-05 16:29:38
청주 구라산성 조사를 기대하며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
구라산성(구녀성)은 청주시 향토유적 제2호다. 산성이 위치한 구녀산(해발 497m)은 남한강의 발원지인 좌구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산으로 미원, 내수, 증평, 청주 일대를 조망하기에 유리한 곳에 위치한다.구라산성은 해발 497m의 구녀산(謳羅山)에 축조된 포곡식 석축산성으로 조선시대의 지리지에도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다. 산성에 대한 기록 중 `신증동국여지승람'청주목 고벅에 석축으로 둘레가 2,790척이고 우물이 두 개 있으며, 지금은 폐지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조선전기에 이미 고적으로 취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 역대 지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답습하고 있으며, 다만 성안에 우물이 1개 혹은 2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구라산은 고려산(高麗山)구려산(句麗山)궁예산(弓裔山)구녀산(...
등록일
2021-11-28 16:29:02
문화재의 현재를 기록하다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0
충북문화재돌봄센터 모니터링팀은 매일같이 카메라를 들고 문화재를 방문한다. 웅장한 모습으로 우뚝 서 있는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을 묵묵히 바라보는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더운 여름 큰 그늘막이 되어 어르신들의 쉼터가 되어주는 청주 압각수, 아름드리 소나무숲 속에 자리 잡은 99칸 보은 우당 고택, 산속 홀로 외로이 있는 영동 박사삼 묘표를 오늘도 사진으로 기록한다.화재 모니터링 업무를 수행할 때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비는 단연 카메라이다. 문화재의 현황과 특이사항을 기록하기에 카메라만큼 편리한 도구도 없다. 액정을 보고 셔터를 누르면 한 장의 사진으로 기록된다. 한 장의 사진을 통해 내가 보고 느낀 것을 바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이제는 지나간 과거가 되어버린, 셔터를 누를 당시의 생생한...
등록일
2021-11-21 16:28:13
무덤 주인 알 수 있는 최초 왕릉 `무령왕릉'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5
1971년 7월 5일 공주 송산리 6호분의 무덤 내부에 스며드는 습기를 막기 위해 보수공사 도중에 우연히 한 인부의 괭이 끝에 벽돌이 걸렸다. 벽돌을 따라 파 내려가니 입구인 듯한 아치가 나오기 시작했고 벽돌무덤 하나가 발견되었다. 벽돌무덤의 연도를 따라 석수(石獸, 진묘수) 한 마리와 묘지석 두 장이 확인되었으며, 묘지석 첫머리에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이라고 되어 있었다. 이 묘지석은 무덤의 주인공이 백제를 다시 강한 나라로 부흥시킨 제25대 무령왕 부부임을 알려주었고, 묘지석의 발견으로 무령왕릉은 우리나라에서 무덤에 묻힌 주인공을 확인할 수 있게 된 최초의 왕릉이 되었다.무령왕릉은 당시 중국 양(梁)나라 지배계층 무덤의 형식에 영향을 받아 축조한 벽돌무덤임이 확인되었고 무덤 안에서는 금으로 만든 관장식, 용...
등록일
2021-11-14 16:27:13
메타버스에서 만나는 충북의 문화유산을 꿈꾸며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
2021년을 뜨거운 관심 속에 사람들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렸던 단어가 무엇이 있을까?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메타버스(Metaverse)'이다. 가상과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세상 혹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를 합쳐 표현한 메타버스는 2021년 대한민국의 가장 뜨거운 키워드였다.메타버스란 용어 자체는 낯설지만 사실 우리에게 메타버스는 그리 낯선 존재가 아니다. 이미 2000년대 초 싸이월드에서 우리는 자신만의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자기를 대신할 아바타를 만들었으며, 그 공간과 아바타를 꾸미면서 메타버스를 경험해 보았다. 또한 최근 레디 플레이어 원과 같은 영화나 제페토, 마인 크래프트와 같은 게임을 통해 한층 더 발달된 메타버스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해보고 있...
등록일
2021-11-07 16:26:36
독도의 날을 아십니까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
지난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었다. 이 날은 `대한제국칙령 제41호를 기념하고, 독도 수호 의지 표명 및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이다. 대한제국칙령 제41호는 1900년(고종 37)10월 25일 울릉도를 독립된 울도군으로 격상하여 울릉도, 죽도, 독도를 관장하는 지방행정기관으로 하고, 행정책임자인 울릉도 도감(島監)을 울도군 군수(郡守)로 격상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법령이다.하지만 이후 독도는 큰 아픔의 세월을 겪었다. 1904년 일본이 러일전쟁을 일으키면서, 러시아 함대를 감시하기 위해 독도를 주인 없는 섬이라며 일본의 땅으로 불법 편입하였다. 이 불법행위가 명시된 것이 바로 시마네현 고시 제40호(1905년)이며, 이를 빌미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등록일
2021-10-31 16:25:47
손끝으로 소통하는 세상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
길을 걷다 보면 올록볼록 튀어나온 노란색 점자블럭을 만날 수 있다. 얼핏 생각하면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이것은 지팡이를 짚고 점자블럭을 따라 이동해야 하는 시각장애인에게는 생존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이때 시각장애인은 `흰색' 지팡이를 사용하는데 오로지 시각장애인들만 흰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법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매년 10월 15일을 `흰지팡이의 날'로 지정하여 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이렇게 이동 시 보행을 돕는 흰지팡이 외에도 시각장애인에게는 또 다른 눈이 있다. 바로 `점자'가 그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시각장애인들은 송암 박두성 선생이 만든 한글 점자로 표기된 글을 손끝으로 읽으며 세상과 소통하고 있다.예전에는 우리나라만의 점자가 없어 서양이나 ...
등록일
2021-10-24 16:25:03
음성 사정고개에 남아있는 동학군 묘소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5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8km 정도 떨어진 사정리 강당마을에 가면 일명 동학묘 혹은 항일의병의 묘소라 불리는 봉분 6곳이 남아있다.이 사정리 강당마을에선 이 묘소에 동학군 혹은 항일의병이 묻혔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아주 오래전부터 전해오고 있다. 음성에서 동학농민혁명이 벌어졌던 1894년, 지금으로부터 130여 년 전 이곳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을까.사정리의 동학군 활동과 관련한 내용은 사정고개 밑에 동학군이 왔을 때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동학혁명군 전사자 5명의 봉분이 사정리 강당말에서 용산리로 넘어가는 7~8부 능선에 있다라고 전해진다.당시에 동학농민혁명군과 일본군과의 전투가 사정리에서 있었다는 기록은 아직까지 찾을 수 없어 구전만으로는 정확한 정황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사정리 강당마을에서는 130여 ...
등록일
2021-10-17 16:24:22
가을의 문턱에서 독서왕을 만나다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6
독서의 계절, 가을이 왔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독서를 한다는 것은 어쩌면 또 하나의 일처럼 여겨질지 모른다.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4년 1인당 평균 독서 권수가 13.9권이었던 것에 반해 2019년에는 7.3권으로 줄어들어 점차 독서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우리가 잊지 말아야 한 가지는 당장 필요한 정보는 손바닥 위에 놓인 스마트폰을 통해서 얻을 수 있지만, 삶을 살아가는 지혜와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내는 전문적인 지식은 독서를 통해 쌓을 수 있다는 점이다. 쉽게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세상에서 어쩌면 독서라는 정보 획득의 도구가 불필요해 보일 수 있겠지만, 생각하게 하고 곱씹어서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 주는 것은 독서가 아니고서는 얻을 수 없는 법이다.독서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인물...
등록일
2021-09-26 16:23:42
경주 국제문화재산업전을 다녀와서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6
경주에서 국제문화재산업전이 개최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유일의 문화재박물관 관련 전문전시회로 문화재 각 분야의 산업기술과 문화재 종사자가 정보를 교환하는 플랫폼으로 역할을 하는 행사다.올 행사도 문화재 보존과 안전방제, 수리복원, 매장문화재, 디지털 헤리티지, 박물관, 문화재 활용분야 등에 다양한 전시가 이루어졌다.문화재활용관에는 매장문화재조사 기관과 문화재청유네스코 관련 업체 등이 참가해 활용분야 전시관을 구성했다.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도 진천과 옥천지역 문화재를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마련해 전국에서 방문한 관람객들에게 홍보하였다.문화재활용관에 전시된 자료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자료는 VR로 재현된 해양발굴 체험이었다. 관람객들이 가상현실로 바닷속에 묻힌 유물을 직접 발굴하면서 문화재 발굴을 직접 체험해...
등록일
2021-09-12 16:23:04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