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Archive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안내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All-
제목
작성자
Total
194
,
Page
20
/ 20
Page unit
10
20
30
50
apply
무형을 기록하다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지역 전통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는 무형문화재는 유형문화재와 다르게 전승주체인 기능보유자의 노령화로 인해 늘 전승단절의 위험성이 있다. 유형문화재는 사진영상 촬영, 측량, 해체보수, 수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고 보존할 수 있지만, 무형문화재는 기능보유자를 현상 그대로 복사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가진 지식과 기능을 전수하는 방식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하지만, 급속히 변화하는 경제사회는 전통문화를 업으로 살아가는 기능보유자들의 전승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더 이상 전수자를 통한 무형의 자산이 전달되는 것만으론 무형문화재를 온전히 기록하고 보전할 수 없게 되었다. 더 늦기 전에 무형문화재 또한 기능보유자가 가진 전통 그대로의 것들을 세세히 기록하고 연구해야 하는 이유다.기록의 방법은 두 가지...
등록일
2021-01-10 15:48:32
건강을 지키는 선조의 지혜, 문화재가 되다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7
역사상 유례없는 전염병에 온 인류가 긴장하고 분투하며 싸워왔던 1년을 뒤로하고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인류 역사에 기록될 대사건이 있었음에도 자연의 섭리 안에서는 그저 한순간이라 생각하니, 조금 허무한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 자연의 섭리 속에서 지혜를 찾고 삶을 이어나는 것이 바로 인간이지 않은가?자연의 섭리에 때론 순응하고 때론 맞서며 삶을 영위해온 선조의 지혜는 우리 삶 곳곳에 남아있다. 특히 절기를 읽고 계절에 맞춰 파종하고 수확하는 농경문화는 인류가 습득한 자연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이런 까닭에 농경 전승지식은 우리가 보전하고 전승해야 할 중요한 문화유산이지만, 농경 전승지식이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이 ...
등록일
2021-01-03 15:45:54
문화재 `연구원'의 삶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4
간혹 주변에 계신 분들이 도대체 문화재연구원은 뭐 하는 곳이야?, 너는 무슨 일을 해?라고 물어보신다. 그럴 만한 것이 `문화유산 사진전', `문화유산 공모전'등 문화재연구원에서 하기에는 다소 생소해 보이는 일들을 하고 있기에 너는 왜 연구원이라면서 그런 일을 하고 있어?라고 묻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르겠다.충북문화재연구원은 충북의 문화재를 연구하는 기관이다. 땅속에 있어 발굴을 통해 찾아지는 매장문화재뿐만 아니라 전통 건축물, 성곽, 교통유적, 사찰, 인물유적, 불교조각, 회화, 전적, 전통공예품 등 국보나 보물, 지방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다양한 문화재들, 그리고 한지장, 악기장, 제천 오티별신제, 궁시장, 석암제 시조창 등과 같은 무형문화재까지 다루지 않는 분야가 없다.이렇게 다양한 문화유산을 발굴하는 것에...
등록일
2020-12-27 15:40:16
하늘을 담은 그림, 천문도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5
나에게 코로나 19로 잃어버린 소중한 일상 중 하나는 극장에서 영화 보기이다.커다란 화면과 웅장한 사운드로 즐기는 영화 한 편은 일상 속 작은 여유이자 즐거움이었는데, 이제는 정말 먼 이야기처럼 느껴진다.문득 헤아려보니 영화관을 방문해서 본 마지막 영화가 `천문 : 하늘에 묻다'였다. 무려 1년 전에 본 영화인지라 기억이 좀 가물가물하긴 하지만, 그래도 세종과 장영실이 나란히 앉아 밤하늘을 올려다보던 장면과 장영실이 마차 천장 위에 정성스레 그려넣던 천문도는 또렷이 기억이 난다.천문(天文)은 예로부터 제왕의 가장 큰 책무였다. 문자 그대로 하늘의 글, 즉 하늘의 흐름을 읽고 그 뜻을 파악해서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삼국시대 이래 국가는 천문을 관측하는 관리를 두고 이를 위한 기구를 만...
등록일
2020-12-13 15:37:52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